비싼 요금에 최소 2년의 약정을 사용해야 하는 기존 통신 3사의 요금에 비해 저렴하고 약정기간이 없는 가성비 좋은 알뜰폰 요금제를 찾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점이 있는 반면 단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알뜰폰의 정의와 함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알뜰폰의 정의
알뜰폰이란 "알뜰한 요금" 으로 휴대폰을 사용한다는 말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알뜰폰 회사는 SK, KT, LG가 구축해 놓은 통신망을 임대하여 가상이동통신망을 만든 뒤 고객에게 재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지원 하에 알뜰폰은 저렴한 임대료로 통신망을 빌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 3사의 통신 품질은 그대로 가지고 오면서 요금은 절반 가까이 낮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최초 계획은 다양한 사업자가 참여하여 요금 경쟁을 하는 구조를 원했으나 시간이 지날 수 록 통신 3사의 알뜰폰 자회사가 시장 점유율을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어 애초의 계획이 무색하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이로인해 최근 정부는 통신 3사의 알뜰폰 요금제 자회사 철수에 대한 문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재 가장 대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알뜰폰 회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KT가 만든 KT M 모바일
- KT 가 만든 KT M 모바일
- LG U+ 가 만든 U+ 알뜰 모바일, LG 헬로모바일
- SK 가 만든 SK 7 모바일
- 그 밖의 수 많은 중소 업체가 있습니다 (KB 국민은행이 만든 리브모바일, 카카오에서 만든 핀플레이 등)
2. 알뜰폰 요금제 사용자 수
올해 과일기술정보통신부 발표에 따르면 알뜰폰에 가입한 회선수는 8월 기준 현재 990만 8057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전달, 작년에 비해 수치가 상승하여 지속적으로 시장 점유율이 커지고 있습니다. (중복 회선 포함) 이러한 상승세를 토대로 올해 말 쯤에는 가입자가 1000만명이 상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최근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젊은층을 중심으로 자급제 단말기 구매가 증가하였고 자연스럽게 알뜰폰 가입이 늘어났음
- 휴대폰 뿐 만 아니라 태블릿, 워치, 웨어러블 등 통신 연결이 가능한 기기가 늘어났고 이는 알뜰폰 가입을 선호함
- 알뜰폰 회사들의 공격적인 홍보와 타 업체와의 제휴 마케팅 등이 상당한 효과를 봄
- 기존 3사의 요금이 5G로 변경되면서 과도하게 비싸진 측면이 있어 알뜰폰으로 이탈이 증가했음
3. 알뜰폰 요금제와 통신 3사 요금제의 차이
컨슈머인사이트의 자료를 참고해보면 기존 3사 고객의 평균 월 이용요금은 평균 4만 5900원으로 집계되었지만 알뜰폰 고객의 평균 월 이용요금은 2만 4700원으로 집계되어 약 50% 저렴한 요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LTE와 5G를 합쳐 집계를 낸 것이고 현재 통신 3사의 주축이 되고 있는 5G로 한정하였을 경우 그 차이는 더욱 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4. 알뜰폰 요금제의 장점과 단점
알뜰폰은 저렴한 요금제를 무기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장점과 단점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차이점에 대해 아래의 내용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장점
- 기존 3사의 통신망을 사용하여 동일한 통화 품질 및 인터넷 속도를 기대할 수 있음
- 기존 3사의 통신 요금제 대비 약 50% 가까운 저렴한 요금으로 통신비를 절약할 수 있음
-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쉽게 가입이 가능하고 개통을 할 수 있으며 편의점, 커머스 등 다양한 제휴처가 있음
- 통신 3사에서 출시하여 판매하지 않는 외국 휴대폰도 알뜰폰에서는 개통이 가능함
단점
- 기존 3사가 구축한 우수한 멤버십 혜택 및 인프라의 혜택을 누릴 수 없음
- 기존 3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TV등 다양한 결합 프로그램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음
-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고객센터 연결이 어려우며 상당한 시간이 지체됨
- GPS, 위치정보 기술이 정밀하지 않아 긴급정보가 경찰, 소방서 등에 제대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음
오늘 알뜰폰의 정의와 함께 알뜰폰 요금제 장점과 단점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기존 통신 3사의 요금제 대비 확실히 저렴하기 때문에 가성비를 추구하는 MZ세대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웨어러블 등 통신기기가 많아지며 서브 통신사로 선택하는 추세 역시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신 3사의 자회사 점유율이 큰 것과 여러 단점 이 상존하는 만큼 빠른 시일내에 개선되어 기존 3사는 물론 알뜰폰 회사 역시 각자의 가치에 맞는 합리적인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모든인포 > ㄴ정보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통신장애 보상 조회, 겨우 몇백원이라니 (0) | 2021.11.15 |
---|---|
자기계발도서 리뷰, 타이탄의 도구들에서 배워보는 성공 전략 (0) | 2021.11.11 |
비트코인 거래소 순위와 거래량 최신버전 업데이트 (0) | 2021.10.22 |
차전자피 효능, 정말 쾌변과 다이어트에 효과 있나요? (0) | 2021.10.19 |
올해 김장 배추 가격 폭등이 예고된 상태 (0) | 2021.10.18 |
댓글